본문 바로가기
공부해요

입원, 퇴원 및 이동

by 02씨 2023. 12. 22.
반응형

1. 입원

대상자들은 입원을 계기로 프라이버시의 상실, 생활의 변화, 경제적인 부담, 질병 예후에 대한 불안과 역할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대상자들은 생활이 일시적이나마 바뀌어 주위 환경에 민감해지고 심리적으로 상처 받기가 쉬우며, 또한 의료기관에 입원한 대상자들은 원래의 역할에 환자 역할을 추가해야 하므로 역할 갈등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런 대상자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안위와 자아존중감, 프라이버시를 유지해 주는 데 신경을 써야 합니다. 대상자는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입원하기 전과 다른 입원 후의 환경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간호사는 입원과 동시에 퇴원할 것에 대비해 자기돌봄을 교육하고 간호를 제공할 책임도 갖습니다. 즉,간호의 연속성이란 대상자가 건강관리시설에 들어오기 전, 그들이 시설에 입원한 기간 동안, 그리고 퇴원한 후에 대상자에게 주어지는 서비스가 연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대상자가 입원, 퇴원, 이동, 타기관으로 후송 등으로 환경이 바뀌더라도 간호가 단절되지 않도록 대상자의 불안을 줄이고 대상자가 최상의 기능과 안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2. 입원 과정

(1) 입원 수속

의사가 외래진료를 통해 대상자의 입원을 결정하면 병원의 입,퇴원계 직원은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 입원 서류를 작성 또는 입력하고, 신원을 확인하는 바코드를 부여하여 신원 확인용 팔찌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팔찌는 대상자가 입원해 있는 동안 사용될 중요한 안전장치로 투약, 진단검사 그리고 수술을 포함한 많은 절차와 치료를 위해 정확한 신원 확인의 도구가 됩니다.

(2) 입원실 준비

입퇴원 계로부터 입원 대상자가 곧 병실에 도착할 것이라는 연락을 받으면, 간호사는 침대 및 침구, 활력징후 측정 도구, 신장기와 체중계, 환의를 비롯한 입원 물품을 준비하며 대상자의 사전 정보에 따라 필요한 장비를 갖추어 둡니다. 또한 필요시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고 조명을 켜거나 병실의 실내 온도를 맞추는 등 물리적 환경을 살펴봅니다.

(3) 입원 간호

대상자의 입원 경로가 보통 외래진료를 통한 예정된 입원인 경우에는 자료를 수집하는 데 시간적 여유가 있고, 대상자가 협조 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상자의 입원 경로가 응급실을 통한 응급입원일 경우는 대상자의 의식이 없을 수도 있으며, 협조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신체적 상태에 대한 사정을 우선으로 하면서, 즉각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게 됩니다. 대상자가 병동에 도착한 이후 환자의 불안을 인지하고 치료적 의사소통, 교육을 통해 이를 감소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이동

(1) 전동(병원 내에서의 이동)

대상자가 같은 병동에서 다른 병실로 옮기는 겨우 사용하고 있는 장비나 의료기구도 함께 옮깁니다. 대상자의 가족에게 개인 소지품을 챙기도록 하며 대상자의 병록지, 카덱스, 간호기록지, 약 처방은 새 병동에 맞게 라벨을 고치고 병원의 기타 부서에 신속하게 통보하도록 합니다. 만약 대상자가 다른 병동이나 중환자실로 이동된다면 대상자와 관련된 모든 기록, 소지품을 이동할 병동의 간호사실로 보내면서 이동할 병동의 간호사에게 대상자에 대해 직접 구두 보고를 합니다. 정확하고 완전한 의사소통은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2) 전원(다른 시설로 이동)

대상자의 모든 소지품과 처방전, 외래진료 예약지 등을 함께 보내도록 합니다. 법적 서류인 차트의 원본은 병원에 남겨두고 사본을 보냅니다. 의무기록 보관 기간은 5년입니다. 병원의 간호사가 대상자가 옮겨갈 다른 시설의 간호사에게 서면화된 사정 자료와 간호계획을 보낼 뿐만 아니라, 직접 구두로 인계하여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4. 퇴원

(1) 퇴원 유형

퇴원은 입원할 때부터 미리 계획되며,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대상자, 대상자의 가족, 의료팀과 협의하여 퇴원 결정을 하게 되지만 일방향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대상자와 의료팀의 동의하에 경정하는 정상 퇴원과 대상자의 의지와 달리 의료비 체불, 위험성 등의 이유로 기관이 퇴원을 결정하는 강제 퇴원, 건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대상자가 사망한 경우에 퇴원하는 사망 퇴원, 계속적인 관찰 또는 치료가 필요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자가 퇴원을 원하는 경우 이후 발생되는 질병의 악화 등에 대해 병원에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의학적 권고 거부에 대한 서명을 하고 퇴원하는 자의 퇴원이 있습니다.

(2) 퇴원 계획

대상자에게 병원을 떠나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시켜 주는 체계적인 준비 과정으로, 퇴원계획은 대상자의 입원 시부터 시작됩니다. 성공적인 퇴원계획의 열쇠는 대상자와 간호제공자들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이며, 대상자가 병원에 있는 동안이나 가정으로 돌아간 후 간호의 연속성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미리 계획되어야 합니다. 조기 퇴원하는 경우에는 대상자들이 퇴원한 후에도 치료가 필요하며 가족들이 간호해야 하는 상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가족에게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교육받을 수 있도록 돕고, 회복 기간 동안 가정간호 등 지역사회자원과 연결되도록 의뢰를 중재해야 합니다. 

(3) 퇴원 절차

의사는 퇴원 지시를 확인하는데, 자의 퇴원인 경우 각서와 서명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모든 기록을 정리하고 퇴원기록을 한 후 퇴원계로 보내는데, 대상자 상태, 투약과 치료 상황, 식이, 활동 수준, 제한점, 퇴원 방법 등을 기록합니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퇴원 교육이 제공되었는지 확인하고, 퇴원 약 등 퇴원 시 가지고 갈 물품을 챙겨둡니다. 필요에 따라 휠체어나 운반차를 준비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 사정  (0) 2023.12.23
간호 과정  (0) 2023.12.22
건강 관리 기관의 유형  (0) 2023.12.15
건강과 질병예방  (0) 2023.11.29
간호의 주체, 중심개념 - 인간  (0) 2023.11.26